한ㆍ중 FTA 비준, 화장품 관세 인하 영향 미미
한ㆍ중 FTA 비준, 화장품 관세 인하 영향 미미
  • 김진희 기자 jini@jangup.com
  • 승인 2015.12.04 11: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양허 제외...중국 측 자국 산업 보호의지 드러나

한국과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이 비준동의안 국회 통과로 연내 발효가 가시화되면서 화장품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하지만 최대 수혜자로 각광받았던 화장품·생활용품 업종은 FTA로 인한 관세 인하효과가 미미해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국내 대중국 수출비중은 26%로 9%인 유럽연합(EU)과 13%의 미국에 비해 높은 편이며, 한·중 FTA의 국내총생산(GDP) 증가율 추정치는 2.72%로 한·미 FTA(0.56%), 한·EU FTA(1.02%)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중국 내수시장 성장 업종으로 수혜가 예상됐던 화장품과 생활용품의 경우 주요 수출 품목들이 이미 관세가 낮아졌거나 양허 대상에서 제외돼 전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으로 분석된다.

박소연 연구원은 “화장품에서 주요 수출 품목인 스킨케어 제품의 관세는 이미 지난 6월 기존 6%대에서 2%대로 낮아졌고, 색조 제품은 양허 제외돼 현재 관세 10%가 유지되기 때문”이라며 “생활용품 관세는 점진적 인하 또는 철폐가 예상되나 주력 품목이 아니어서 전체 화장품 시장이나 업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화장품(색조), 의료기기 등 대중국 수출 기대가 많은 산업의 양허가 제외된 것은 중국 측 자국 산업 보호에 대한 의지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또 한 번 상기시키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다만 서비스업 중에서 콘텐츠와 지적재산권 관련된 협력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고, 큰 그림에서의 한국 경제와 산업의 방향은 제조업이든 서비스업이든 중국과의 협력이 더욱 강화되는 방향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소비재와 콘텐츠ㆍ방송ㆍ여행 등 서비스 산업뿐 아니라 부품, 소재, 주문자상표부착방식(OEM) 등 제조업 중간재 부문에서 경쟁력을 갖춘 기업들을 주목해야 하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업계 관계자는 “한ㆍ중 FTA가 비준됐지만 중국 수출 의존이 큰 한국 화장품에 대한 변화는 거의 없어 갈수록 교역 폭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며 “향후 화장품산업이 실질적인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재협의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