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직구 4배 증가...역직구는 ‘주춤’
최근 10년간 직구 4배 증가...역직구는 ‘주춤’
  • 윤경선 koia7@jangup.com
  • 승인 2024.08.28 10: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직구 하락은 對 중국 화장품이 주 원인

최근 10년 해외 직구 규모가 4.1배 늘어난 반면, 역직구는 2019년까지 상승하다가 꺾이는 부침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27일 발간한 ‘2024 유통물류 통계집’에 따르면, 2014년 1조6천억원이었던 온라인을 통한 해외 직구(직접구매) 규모가 2023년에 6조7천억원으로 4.1배 늘어났다. 반면, 해외 역직구(직접판매)는 2014년 7천억원에서 6조원 규모까지 성장하였으나, 2019년 성장세가 꺾이면서 2023년 1조7천억원으로까지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대한상의는 “직구시장은 의류·패션잡화를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면서 퀀텀점프를 이루었고, 역직구는 K뷰티 관련 품목 판매가 늘어나다 중국 한한령(限韓令)으로 꺾인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이동일 한국유통학회 회장(세종대 교수)도 “2021년까지만 해도 아마존, 베스트바이 등 미국 쇼핑몰을 중심으로 국내 소비자 이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고, 직구에서 미국 비중이 가장 높았다”면서, “알리·테무 등 C커머스 플랫폼의 글로벌시장 진출이 가속화되고 국내 진출이 본격화되었던 2023년부터는 중국 비중이 높아지면서 직구의 성장폭이 더 확대되고 있다”고 밝혔다. 마종수 한국유통연수원 교수는 “전체 역직구에서 중국 비중이 가장 높은 상황에서 품목으로는 화장품이 성장에 가장 큰 역할을 해온 가운데 2017년 한한령(限韓令)으로 중국 정부가 한국관광 뿐만 아니라, 화장품·식품·컨텐츠 구입을 제한하면서 중국 화장품 역직구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다”고 분석했다.

실제 중국 역직구에서 화장품 품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80~90%에 이르는데, 화장품 품목의 역직구 규모가 2020년 4조 9천억원을 정점으로 큰 폭으로 감소한 이후 회복하지 못하고 있고, 중국 전체 역직구도 이와 동일한 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됐다.

최근 10년간 직구 품목 순위는 1위 의류·패션, 2위 음·식료품으로 부동의 1·2위를 지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품목들도 순위에 큰 변동은 없었으며 거래 규모만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역직구도 1위 화장품, 2위 의류·패션 품목 순위에는 변화가 없었지만, K 문화 확산에 따라 음반·비디오를 포함한 뷰티·의류·문화 등 K브랜드 관련 품목의 거래 규모가 커지면서 순위 변화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의는 “플랫폼을 통한 역직구(수출)는 미래 성장 가능성이 매우 높지만 실제 성장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아직 역부족한 상황이다”고 지적하고, “K 콘텐츠, K 뷰티, K 푸드 등이 한류열풍으로 인기가 높아지고 있는 만큼, 경쟁력 있는 품목과 중소기업·소상공인의 플랫폼 진출이 활발해질 수 있도록 정부차원에서 물류·마케팅을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장근무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유통소매시장에서의 온·오프라인 간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제품의 가격경쟁력도 중국에 비해 약화되고 있어 유통 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며, “민관이 힘을 합쳐 미래유통산업 발전방향과 비전을 정립하고, 글로벌 유통시장 진출 확대를 위한 역직구의 활성화 방안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