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테크노파크,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협력체’ 출범
부산테크노파크,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협력체’ 출범
  • 윤경선 koia7@jangup.com
  • 승인 2024.06.17 10:2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관련 분야별 전문가 30여 명 참여

부산테크노파크(원장 김형균)는 지난 4일 부산시와 함께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 협력체’ 출범식을 개최했다.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 협력체’는 파워반도체 공유대학, 수소동맹, 이차전지 지산학복합체와 더불어 부산 화장품・뷰티산업을 이끌어갈 지산학협력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 협력체’는 ▲부산시(바이오헬스연구개발과), ▲부산테크노파크 ▲경성대(화장품학과), 동명대(화장품학과), 동의대(뷰티비즈니스학과), 신라대(제약화장품학과), 경남정보대(뷰티헬스과, 화공에너지공학과), 부산보건대(글로벌뷰티계열), 동의과학대(스마트화장품소재과) ▲(사)부산화장품산업협회와 더불어 ▲㈜아마란스, ㈜에코마인 등 지역 화장품 제조 및 책임판매기업 10개사, ▲부산연합기술지주 등 투자사 등 30여 명의 지산학 전문가가 참여해 출범했다.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 협력체’는 지-산-학-연-관 전문가의 협력으로 화장품 소재, 뷰티테크 등 부산 화장품‧뷰티 관련 사업을 공동기획하고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등 산업 육성의 마중물 역할을 할 계획이다. 아울러, 부산 화장품・뷰티 제품의 국내외 판로개척, 관광산업 및 IT기술융합을 통한 미래형 화장품‧뷰티 서비스 확장 등 다양한 협력을 추진할 예정이다.

부산시는 부산 9대 전략산업의 하나인 라이프스타일산업 육성의 일환으로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해 주도적으로 화장품・뷰티산업 육성을 이끌어간다.

산업계는 화장품・뷰티산업 시장동향 및 기술정보를 공유하고, 산업 현장의 혁신 과정과 니즈를 생생히 전달할 예정이다. 대학은 클로컬대학, 라이즈센터 등 산학 조기취업형 전문인력양성 방안 등을 통해 화장품・뷰티산업 분야 전문인력 양성에 협력한다.

부산테크노파크 등 관련 연구․혁신기관은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계획에 기반해 산업 육성 및 기업지원을 강화한다. 아울러, 네트워크 확산을 통해 화장품・뷰티산업과 첨단기술 융합, 부산 브랜드 연계 등 다양한 시너지를 만들어 갈 계획이다.

이날 행사는 1부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협력체 출범식에 이어, 2부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기업투자정책 및 IR 설명회로 진행되었다. 부산시 바이오헬스연구개발과 김성은 과장은 부산시 화장품·뷰티 산업여건과 동향을 소개하고,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육성 5개년(2025~2029)’에 대한 협의체의 분야별 의견과 협조를 요청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김충곤 책임연구원은 ‘바다에서 찾은 해양바이오분야 미래산업 먹거리’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해양자원의 잠재력과 발전가능성, 화장품 및 해양치유 활용사례를 소개하고 해양바이오산업과 화장품・뷰티산업 융합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부산테크노파크 김형균 원장의 주제 하에 진행된 토의에서는 ‘부산 화장품‧뷰티산업 지산학협력체’ 운영 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이 도출되었다. 대학 관계자는 해외 대학 및 연구소와 연계하여 관련 기술・인재 교류를 실시하고 있으나 상대적으로 지역 내 연계협력 과정이 부족하다며, 부산 지역 화장품 연구개발 및 제조, 체험 및 홍보를 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에 대한 필요성을 제안했다.

지역 기업은 부산에 화장품 제조등록 기업이 180여 개가 있으나 대부분 영세하고 브랜드 차별성이 약하다며, 부산 화장품을 상징할 수 있는 통합브랜드를 만들어 기업과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기도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